한화오션(042660) 종목 분석
여러분께 한화오션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현재가와 기술적 분석을 통해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자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한화오션 주가 정보
항목 | 수치 | 비고 |
---|---|---|
현재가 | 78,300원 | 2025년 4월 18일 기준 |
52주 최고가 | 83,700원 | 2025년 1월 15일 |
52주 최저가 | 35,100원 | 2024년 5월 24일 |
시가총액 | 9조 8,756억원 | 유가증권시장 상위 30위권 |
발행주식수 | 1억 2,612만주 | 보통주 기준 |
외국인 지분율 | 17.8% | 최근 3개월 +2.3% 증가 |
주요 재무 지표
재무지표 | 2024년 | 2023년 | 전년대비 |
---|---|---|---|
매출액 | 6조 7,832억원 | 5조 8,456억원 | +16.0% |
영업이익 | 3,582억원 | 1,729억원 | +107.2% |
순이익 | 2,975억원 | 1,245억원 | +138.9% |
EPS(주당순이익) | 2,359원 | 987원 | +139.0% |
PER(주가수익비율) | 33.2배 | 62.1배 | -46.5% |
ROE(자기자본이익률) | 8.7% | 4.1% | +4.6%p |
기술적 분석 및 매수 타점
분석 지표 | 수치 | 신호 |
---|---|---|
5일 이동평균선 | 77,860원 | 상승 추세 |
20일 이동평균선 | 75,320원 | 상승 추세 |
60일 이동평균선 | 68,740원 | 상승 추세 |
RSI(14일) | 67.3 | 중립(과열 주의) |
단기 매수 타점 | 74,500원~76,500원 | 20일 이동평균선 부근 |
중기 매수 타점 | 68,000원~70,000원 | 60일 이동평균선 부근 |
지지선 및 저항선 분석
구분 | 1차 | 2차 | 3차 |
---|---|---|---|
저항선 | 80,500원 | 83,700원 | 87,000원 |
지지선 | 76,000원 | 70,000원 | 63,500원 |
변동성 범위 | 현재가 대비 +11.1% / -18.9% |
한화오션 사업 현황 및 전망
사업 부문 | 매출 비중 | 성장률 | 전망 |
---|---|---|---|
조선 | 67.5% | +18.4% | LNG선 수주 증가로 호조 |
해양플랜트 | 21.2% | +12.7% | 해상풍력 설비 수요 증가 |
엔진/기계 | 8.3% | +8.1% | 친환경 엔진 수요 확대 |
기타 | 3.0% | +5.3% | 스마트십 기술 개발 중 |
한화오션 추천 이유 및 전망
한화오션은 기존 대우조선해양이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새롭게 출범한 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LNG선 건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인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조선업 수주 호황기 진입으로 인해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2025년 실적 전망 수치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7조 4천억원(전년대비 +9.1%), 영업이익은 4,180억원(전년대비 +16.7%)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수주잔고는 27.8조원으로 향후 3년간 안정적인 실적이 기대됩니다.
현재 주가 78,300원은 PER 33.2배로 다소 고평가된 측면이 있으나,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해상풍력 사업 확대로 인한 중장기 성장성을 고려할 때 투자 매력이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어 74,500원~76,500원 구간에서의 매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투자 시 주의사항: 조선업은 경기 순환적 특성이 강하고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하므로,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과 환율 변동 위험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투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하에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론
한화오션은 현재 78,3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실적 개선과 수주 증가로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결과 단기 매수 타점은 74,500원~76,500원, 중기 매수 타점은 68,000원~70,000원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2025년에는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LNG선 발주 호조로 인해 실적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해상풍력 사업 확대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투자 시 분산 투자와 단계적 매수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분석은 투자 참고용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실제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드립니다.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수반되므로 신중한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